반응형
1. 상품 범위 설정
판단 근거: 어떤 상품을 탐색할지 범위를 명확히 해야 방향이 잡힌다
- 1-1. 범주 설정
- → 어떤 어떤 상품군 안에서 찾을지 기준을 정한다
- 1-2. 세분화
- → 경쟁을 피하고 구체적인 수요에 접근하기 위해 좁힌다
- 1-3. 소비자 동선 파악 (시간 / 공간)
- → 언제, 어디서 쓰는지를 파악해 실사용 맥락을 이해한다
- 1-4. 관심사 파악
- → 어떤 주제와 관심에 반응하는 소비자인지 이해하기 위해
- 1-5. 검색 방식 파악
- → 소비자가 실제로 어떤 방식으로 탐색하는지 확인하기 위해
2. 리스크 체크
판단 근거: 상품을 조사하기 전에 내가 감당 가능한 조건인지 현실적으로 판단해야 한다
- 2-1. 선정에 드는 시간&에너지
- → 조사와 검토에 들이는 시간과 에너지를 고려해야 한다
- 2-2. 수요도 (검색량, 리뷰 수)
- → 실제 수요가 있는 시장인지 데이터를 통해 검증한다
- 2-3. 시장성 (가격 경쟁 여부)
- → 이미 가격 경쟁이 심한 시장인지 확인하 진입 판단한다
- 2-4. 시즌성 (지속성 판단)
- →누적된 데이터를 보고 기간별 추이를 파악한다
3. 상품 가치 분석
판단 근거: 시장 내에서 해당 상품이 어떤 위치와 매력을 가지는지 파악해야 한다
- 3-1. 가격대별 상품 찾기
→ 시장에 어떤 가격 구간이 형성돼 있는지 파악 - 3-2. 가격대별 특징 분석
→ 각 가격대의 구성, 포인트, 기준을 이해하기 위해 - 3-3. 가격대별 디자인·기능 비교
→ 구매에 영향을 주는 차이점을 분석하기 위해
4. 시장조사 (소비자 중심)
판단 근거: 소비자 시선으로 시장을 해석해야 진짜 구매 이유를 파악할 수 있다
- 4-1. 왜 샀는지 파악 (기능/상황/감정)
→ 구매를 유도한 실질적 이유를 찾기 위해 - 4-2. 디자인 디테일 분석
→ 표면적인 인상보다 감정을 유발하는 구체 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- 4-3. 소비자 기준으로 객관화
→ 내 판단이 아닌 소비자의 시선으로 보기 위해
5. 타당성 검증
판단 근거: 기능과 감정을 모두 고려해 이 상품이 실제로 선택할 가치가 있는지 최종 판단하는 단계
- 5-1. 단순 스펙이 아니라 감정까지 반응하는가
→ 기능 외에 감정적 매력이 있는지 확인 - 5-2. 실전 사례를 통해 감정적 이유를 추리한다
→ 실제 리뷰와 사례에서 감정 동기를 분석 - 5-3. 가능한 이유를 많이 떠올린다
→ 다양한 감정적/상황적 가설을 세운다 - 5-4. 하나씩 제거하며 적합한 이유를 좁힌다
→ 소비자가 반응한 본질적 이유를 도출한다